농장동물의 복지에 관한 문제는 단순한 윤리적 문제를 넘어, 지속가능한 축산과 환경 보호의 중요한 한 축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에서는 농장동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그들의 복지를 적극적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해관계에 따라 좁혀지지 않는 의견차를 해소하고, 실질적인 복지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정부, 축산업계, 동물보호단체 등 관련 이해 당사자들 간의 충분한 토론과 협의를 통해 차츰 동물복지 향상을 위한 길을 열어가고 있으며, 이는 축산의 지속가능성과 동물복지를 동시에 고려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돼지·산란계 ‘동물복지 가이드라인’ 마련 윤곽 드러내…
돼지와 산란계의 동물복지 지침이 윤곽을 드러내고, 그 마무리 단계에 놓여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11월 21일 국립축산과학원 5층 강당에서 ‘농장동물복지 연구 및 정책 현황 학술 토론회(심포지엄)’를 열고 돼지와 산란계 동물복지 지침을 공유했습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국립축산과학원 김찬호 연구사가 동물복지 지침에 담긴 사육시설과 가축 관리 세부 항목 및 주요 내용 등을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이어서 농식품부와 검역본부 등의 정부 기관과 대학 그리고 대한한돈협회, 대한양계협회, 대한산란계협회, 한국토종닭협회 등의 생산자단체 및 동물자유연대, 동물권행동 카라, 한국동물보호연합,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등의 동물보호단체가 참석해 동물복지 지침안을 공유하고 주요 내용에 대한 전문가 토론을 벌였습니다. 전문가 토론에서는 동물복지 가이드라인의 정보제공 효과와 개선점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특히 동물복지가 실제로 이뤄질 수 있는 현장인 축산농가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사육시설 활용 정보와 가축 관리 설명을 추가해야 한다는 내용이 중점적으로 오갔습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돼지·산란계 동물복지 가이드라인이 완성되면 내년 상반 중 일반 축산농가에 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후 순차적으로 2026년에는 한·육우 및 젖소, 2027년에는 염소와 오리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농촌진흥청
어미 돼지의 스톨 사육, 사라질 수 있을까… 농장동물 복지 토론회 개최
최근 학계와 양돈농가, 동물단체, 정부 등이 함께 돼지의 복지와 정책에 대해 논하고 점검하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지난 11월 27일 (사)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와 동물복지국회포럼, 송옥주 국회의원이 함께 주최한 ‘농장동물 복지 향상 방안 모색을 위한 국회 토론회’가 국회 의원회관 제10 간담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이날은 어미 돼지의 복지에 대해 초점이 맞춘 논의가 진행됐습니다.
특히 중점적으로 논의된 내용은 현재 국내 농가들이 많이 채택하고 있는 스톨(stall) 사육 방식입니다. 스톨은 임신한 어미 돼지를 고정된 금속 틀에 넣어 사육하는 방식으로, 자돈이 압사당할 수 있는 우려를 줄이고 생산비와 관리 효율이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돼지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서 극도의 스트레스, 모성 본능의 감소하기도 합니다. 또한 운동 부족으로 관절 손상, 보행 장애, 비뇨기계와 심장 질환 등의 질병에 취약해집니다.
분만틀에서 젖을 먹이는 어미 돼지 ⓒconservative animal welfare foundation
이날 토론회에 참여한 윤진현 전남대학교 교수는 어미 돼지에게 분만 전 본능적으로 하는 행동인 ‘둥지짓기(nest-building behavior)’와 같은 행동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해야 포유와 분만에 필요한 프로락틴, 옥시토신 등의 호르몬 분비가 잘 되고 번식 성적 또한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분만 전 둥지 짓기 행동을 많이 한 어미 돼지가 낳은 아기 돼지들에게서도 면역상태는 더 좋게 나타났습니다. 요약하자면 동물복지의 향상 뿐만 아니라 생산성까지 개선된다는 내용인데요. 윤 교수는 다만 공간을 넓히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디테일한 관리가 필요함을 언급했습니다.
한편 이날 발제 후 이어진 토론에서는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 ▲이병석 한돈미래연구소 부사장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 ▲전중환 국립축산과학원 농업연구관 ▲임영조 농림축산식품부 동물복지정책과장 등이 농장동물 복지 향상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습니다.
특히 2030년까지 임신돈에 대한 군사 공간 제공을 의무화한 정책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습니다. 올해 1월 어웨어가 양돈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2030년 이전으로 예정된 유예기간 내에 군사사육으로 전환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52.7%로 절반을 넘겼는데요. 군사로 전환 시 드는 비용과 생산성적에 대한 우려 등이 그 이유로 꼽혔습니다. 이 때문에 모돈 군사 전환 군사 시설 시스템으로의 순조로운 전환을 위해 유예기간을 두는 것 이외에 다양한 사양관리 방법 등 행정적이나 기술적 절차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적됐습니다.
모돈과 포유자돈 동물복지 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또한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 개념을 넘어서 포괄적인 차원의 동물복지가 축산 정책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들이 동물복지 축산물을 믿고 사 먹을 수 있도록 투명한 정보 공개에 대한 요청도 잇따랐습니다.
임영조 농림축산식품부 동물복지정책과장은 “동물복지 축산 인증을 받지 않은 일반 농장들에 대해서도 동물복지를 진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일반 농가들이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현실적이고 자발적 수준의 가이드라인을 배포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 중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농장동물의 복지에 관한 문제는 단순한 윤리적 문제를 넘어, 지속가능한 축산과 환경 보호의 중요한 한 축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에서는 농장동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그들의 복지를 적극적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해관계에 따라 좁혀지지 않는 의견차를 해소하고, 실질적인 복지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정부, 축산업계, 동물보호단체 등 관련 이해 당사자들 간의 충분한 토론과 협의를 통해 차츰 동물복지 향상을 위한 길을 열어가고 있으며, 이는 축산의 지속가능성과 동물복지를 동시에 고려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돼지·산란계 ‘동물복지 가이드라인’ 마련 윤곽 드러내…
돼지와 산란계의 동물복지 지침이 윤곽을 드러내고, 그 마무리 단계에 놓여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11월 21일 국립축산과학원 5층 강당에서 ‘농장동물복지 연구 및 정책 현황 학술 토론회(심포지엄)’를 열고 돼지와 산란계 동물복지 지침을 공유했습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국립축산과학원 김찬호 연구사가 동물복지 지침에 담긴 사육시설과 가축 관리 세부 항목 및 주요 내용 등을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이어서 농식품부와 검역본부 등의 정부 기관과 대학 그리고 대한한돈협회, 대한양계협회, 대한산란계협회, 한국토종닭협회 등의 생산자단체 및 동물자유연대, 동물권행동 카라, 한국동물보호연합,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등의 동물보호단체가 참석해 동물복지 지침안을 공유하고 주요 내용에 대한 전문가 토론을 벌였습니다. 전문가 토론에서는 동물복지 가이드라인의 정보제공 효과와 개선점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특히 동물복지가 실제로 이뤄질 수 있는 현장인 축산농가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사육시설 활용 정보와 가축 관리 설명을 추가해야 한다는 내용이 중점적으로 오갔습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돼지·산란계 동물복지 가이드라인이 완성되면 내년 상반 중 일반 축산농가에 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후 순차적으로 2026년에는 한·육우 및 젖소, 2027년에는 염소와 오리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농촌진흥청
어미 돼지의 스톨 사육, 사라질 수 있을까… 농장동물 복지 토론회 개최
최근 학계와 양돈농가, 동물단체, 정부 등이 함께 돼지의 복지와 정책에 대해 논하고 점검하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지난 11월 27일 (사)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와 동물복지국회포럼, 송옥주 국회의원이 함께 주최한 ‘농장동물 복지 향상 방안 모색을 위한 국회 토론회’가 국회 의원회관 제10 간담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이날은 어미 돼지의 복지에 대해 초점이 맞춘 논의가 진행됐습니다.
특히 중점적으로 논의된 내용은 현재 국내 농가들이 많이 채택하고 있는 스톨(stall) 사육 방식입니다. 스톨은 임신한 어미 돼지를 고정된 금속 틀에 넣어 사육하는 방식으로, 자돈이 압사당할 수 있는 우려를 줄이고 생산비와 관리 효율이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돼지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서 극도의 스트레스, 모성 본능의 감소하기도 합니다. 또한 운동 부족으로 관절 손상, 보행 장애, 비뇨기계와 심장 질환 등의 질병에 취약해집니다.
분만틀에서 젖을 먹이는 어미 돼지 ⓒconservative animal welfare foundation
이날 토론회에 참여한 윤진현 전남대학교 교수는 어미 돼지에게 분만 전 본능적으로 하는 행동인 ‘둥지짓기(nest-building behavior)’와 같은 행동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해야 포유와 분만에 필요한 프로락틴, 옥시토신 등의 호르몬 분비가 잘 되고 번식 성적 또한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분만 전 둥지 짓기 행동을 많이 한 어미 돼지가 낳은 아기 돼지들에게서도 면역상태는 더 좋게 나타났습니다. 요약하자면 동물복지의 향상 뿐만 아니라 생산성까지 개선된다는 내용인데요. 윤 교수는 다만 공간을 넓히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디테일한 관리가 필요함을 언급했습니다.
한편 이날 발제 후 이어진 토론에서는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 ▲이병석 한돈미래연구소 부사장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 ▲전중환 국립축산과학원 농업연구관 ▲임영조 농림축산식품부 동물복지정책과장 등이 농장동물 복지 향상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습니다.
특히 2030년까지 임신돈에 대한 군사 공간 제공을 의무화한 정책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습니다. 올해 1월 어웨어가 양돈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2030년 이전으로 예정된 유예기간 내에 군사사육으로 전환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52.7%로 절반을 넘겼는데요. 군사로 전환 시 드는 비용과 생산성적에 대한 우려 등이 그 이유로 꼽혔습니다. 이 때문에 모돈 군사 전환 군사 시설 시스템으로의 순조로운 전환을 위해 유예기간을 두는 것 이외에 다양한 사양관리 방법 등 행정적이나 기술적 절차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적됐습니다.
모돈과 포유자돈 동물복지 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또한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 개념을 넘어서 포괄적인 차원의 동물복지가 축산 정책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들이 동물복지 축산물을 믿고 사 먹을 수 있도록 투명한 정보 공개에 대한 요청도 잇따랐습니다.
임영조 농림축산식품부 동물복지정책과장은 “동물복지 축산 인증을 받지 않은 일반 농장들에 대해서도 동물복지를 진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일반 농가들이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현실적이고 자발적 수준의 가이드라인을 배포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 중에 있다”고 밝혔습니다.